지역정보

( 운영자) 작성일 : 2024-10-27 오후 5:23:23/조회수 :22




지역정보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디지털 시대에 맞는 새로운 형태의 지역정보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활용한 특색 있는 콘텐츠 제작, 기업 간 정보 공유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지역 정체성 강화, 경제적 시너지 창출, 지역 경쟁력 향상 및 주민들의 삶의 질 개선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의 지원과 연구를 통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행정안전부의 정책적 지원을 받아 추진되고 있습니다.

디지털 플랫폼 구축: 통합 정보 포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빅데이터 플랫폼 등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을 구축하여 행정, 문화, 관광, 경제 등의 지역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정책 수립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지역 특화 정보 서비스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관광지, 숙박, 음식점 정보, 문화 행사 알림, 일자리, 창업 지원, 물가 정보 등 다양한 분야의 지역 특화 정보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민 참여형 정보 생태계 조성: 지역정보의 생산과 공유를 위해 주민 참여 포털, 시민 기자단, 주민 제안 시스템 등을 운영하여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소통할 수 있는 주민 참여형 정보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습니다.
정보 격차 해소 노력 : 노인과 장애인 등 정보 취약계층을 위해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 실시, 다국어 서비스와 음성 지원 등의 정보 접근성 개선, 그리고 1:1 정보화 도우미 운영 등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정보 격차 해소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지역 미디어 지원 : 지역 언론사의 디지털 전환 지원, 마을 단위 미디어 활동 육성, 지역 특화 콘텐츠 제작을 위한 기술적·재정적 지원 등을 통해 지역의 정보 전달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미디어 지원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공공데이터 개방: 행정, 교통, 환경 등 다양한 분야의 공공데이터를 데이터 포털을 통해 제공하고, API 서비스를 지원하며, 데이터 품질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여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지역 정보의 활용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스마트시티 구축 : IoT 기반의 실시간 도시 관리, 통합관제센터를 통한 정보의 통합적 수집과 관리, 그리고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 등을 통해 도시의 정보화를 추진하여 효율적인 관리와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지역정보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지만, 실제 주민들에게 정보가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지역 프로그램들이 낮은 참여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뉴스피드 플랫폼이 제안됩니다.
RSS는 다양한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제공합니다. 주민들은 스마트폰이나 웹을 통해 실시간으로 지역 정보를 받아볼 수 있으며, 직접 정보를 공유하고 토론할 수 있습니다.



www.eut.co.kr과 같은 플랫폼은 이러한 RSS 시스템을 활용하여 개인화된 지역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자유게시판 목차